반응형
Maven을 사용하지 않는 프로젝트에선 JQuery.jar 파일을 lib에 따로 받아서
Add External Jars 를 통해서 사용해 왔었다.
그러나 스프링 같이 maven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에선 필요한 jar들을 dependency에 추가해주기만 해도 사용할 수 있어 훨씬 더 편리해졌다.
maven에 대한 정보는
위의 페이지 중 하나에 들어가서 dependency 정보를 알 수 있다.
예제로 jquery를 검색해서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오고,
가장 위에 있는 JQuery를 클릭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버전을 클릭한다.
해당 버전의 dependency가 나온다.
이 정보를 pom.xml 에 추가해준다.
마지막으로 maven install / update를 해주면 끝!
이제 jQuery를 사용할 html 또는 jsp 파일에 script 정보를 넣어서 사용하면 된다.
여기서 해당 js파일의 path 정보는 Maven Dependencies 에서 추가한 jar에 나와있다.
META-INF / resources / webjars / jquery / 3.4.1 / jquery.min.js 로 나오는걸 볼 수 있다.
webjars 는 스프링부트에서 기본적으로 META-INF/resources 로 처리하므로 src=/webjars/** 으로 입력해주면 된다.
반응형
'Programming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Controller 파라미터 종류 및 차이 - Model/ModelMap (0) | 2021.10.28 |
---|---|
[Spring] Controller에서 getParameter 한글깨짐 (0) | 2021.10.28 |
[Spring] @Controller vs @RestController (0) | 2021.10.25 |
[Spring] Spring Boot 프로젝트 import 하는법 (0) | 2021.10.25 |
[Spring] 유용한 Dependency (0) | 2021.10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