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gramming/Linux

[Linux] iptables 설정 (Server 방화벽 설정 - Ubuntu)

OriginMaster 2021. 11. 15. 16:53
반응형

로컬 컴퓨터가 아닌 리눅스 Server에 접근하기 위해선 해당 Server의 방화벽을 허용해주어야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다.

 

다음은 기본적인 방화벽 설정에 대해 기술합니다.

 

iptables 조회

$ iptables -L -v

 

iptables 주요 명령어
  • -A : 새로운 규칙을 추가
  • -D : 기존의 규칙을 제거
  • -R : 새로운 규칙으로 대체
  • -P : 기존의 규칙을 변경
  • -F : 모든 규칙을 삭제
  • -I : 규칙을 맨 첫부분에 설정.

 

iptables 주요 옵션
  • -p : 패킷의 포트 번호 혹은 프로토콜 명시.
  • -j : 패킷을 어떻게 처리할지 명시. ( ex) ACCEPT, DROP, LOG, REJECT)
  • -m : 확장 모듈을 활성화. ( ex) recent 모듈 : 특정 시간 동안 특정 개수 이상의 패킷을 받았을 때를 처리할 수 있다.)
  • --dport : 패킷의 도착 포트 번호 명시.
  • --sport :  패킷의 발신 포트 번호 명시.
  • -i : In/Out interface 설정
  • --state : 연결상태

 

 

$ sudo iptables -I INPUT 5 -i ens3 -p tcp --dport 80 -m state --state NEW,ESTABLISHED -j ACCEPT
$ sudo iptables -I INPUT 5 -i ens3 -p tcp --dport 443 -m state --state NEW,ESTABLISHED -j ACCEPT
$ sudo iptables -I INPUT 5 -i ens3 -p tcp --dport 8080 -m state --state NEW,ESTABLISHED -j ACCEPT

 

80 포트 - http

443 포트 - https

 

 

적용 후에는 

 

$ sudo iptables-save

 

를 적용해주어야 리눅스를 재부팅했을 때 해당 설정이 유지된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