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gramming/etc
[ntsysv] Red Hat 계역 서비스 관리 유틸리티 - ntsysv
OriginMaster
2025. 3. 6. 14:12
반응형
ntsysv는 Red Hat 계열 리눅스(RHEL, CentOS, Rocky Linux 등)에서 런레벨(runlevel) 별 서비스 관리를 위한 텍스트 기반 유틸리티입니다. 서버 관리 차원에서 service enable/disable 처리를 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툴이라 소개할까 합니다.
📌 ntsysv란?
- 서비스를 켜고 끄는 기능을 제공하는 TUI(텍스트 기반 UI) 프로그램
- chkconfig의 대체 도구로 쓰였지만, 현재는 systemctl로 대체됨
- systemd가 도입된 최신 배포판(RHEL 7 이상, Rocky Linux 8 이상)에서는 사용되지 않음
🛠️ ntsysv 활용법
1️⃣ ntsysv 설치
최신 배포판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지 않지만, CentOS 6/RHEL 6 이하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.
sudo yum install ntsysv -y
2️⃣ ntsysv 실행
단순히 실행하면 현재 런레벨(runlevel)에 등록된 서비스 목록이 표시됩니다.
sudo ntsysv
🔹 방향키(↑↓)로 이동하며, 스페이스바를 눌러 특정 서비스를 활성화(☑)하거나 비활성화(□)할 수 있습니다.
🔹 설정 후 Tab을 눌러 OK를 선택하면 적용됩니다.
3️⃣ 특정 런레벨에 대해 실행
기본적으로 현재 런레벨을 기준으로 실행되지만, 특정 런레벨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.
sudo ntsysv --level 3
위 명령은 **런레벨 3(멀티유저 모드)**에서 실행될 서비스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.
4️⃣ 런레벨(runlevel) 확인
현재 시스템의 런레벨을 확인하려면:
runlevel
출력 예시:
N 3
이 경우 현재 런레벨은 3(네트워크가 활성화된 멀티유저 모드)입니다.
🚀 ntsysv가 사라진 이후 (Rocky Linux 8+ / RHEL 7+)
최신 Linux 배포판에서는 ntsysv 대신 systemctl 명령을 사용합니다.
서비스 목록 보기
systemctl list-unit-files --type=service
서비스 활성화/비활성화
# 서비스 활성화 (부팅 시 자동 실행)
sudo systemctl enable 서비스명
# 서비스 비활성화 (부팅 시 자동 실행 안 함)
sudo systemctl disable 서비스명
서비스 시작/중지/재시작
# 서비스 시작
sudo systemctl start 서비스명
# 서비스 중지
sudo systemctl stop 서비스명
# 서비스 재시작
sudo systemctl restart 서비스명
# 서비스 상태 확인
sudo systemctl status 서비스명
🔥 결론
- ntsysv는 RHEL 6 이하에서 사용되던 서비스 관리 도구
- 최신 배포판(RHEL 7+, Rocky Linux 8+)에서는 systemctl을 사용해야 함
- 과거 버전의 시스템을 관리할 때는 ntsysv가 유용할 수 있음
지금 사용 중인 Rocky Linux 8.10에서는 ntsysv 대신 systemctl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🚀
반응형